Give me high five!!

블로그 이미지

gmHigh5

웹개발자의 소소한 블로그

'WEB'에 해당되는 글 3건

제목 날짜
  • Windows 서비스로 tomcat 등록하기 - 2 2020.08.23
  • Windows 서비스로 tomcat 등록하기 - 1 2020.08.23
  • Tomcat 여러개 설치하기1 2018.10.12

Windows 서비스로 tomcat 등록하기 - 2

WEB 2020. 8. 23. 22:04

앞에서 windows service installer 패키지로 tomcat을 설치해 보았다.

이번엔 '64bit Windows zip' 패키지로 설치를 진행해 본다.

 

 

Tomcat 설치

먼저 패키지 압축을 풀어 적절한 경로로 옮겨놓는다.

명령프롬프트를 열어서 bin 폴더로 이동한 후,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여 톰캣을 설치한다.

 

service.bat install [서비스명]

 

 

삭제할 때는 아래와 같이 수행한다.

service.bat remove [서비스명]

 

서비스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staller 방식으로 설치할 땐 작업표시줄의 트레이 아이콘도 있다는게 다르다.

 

 

JVM 옵션 변경 - 1

명령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을 수행해 보자.

tomcat9w //ES//[서비스명]

또는 tomcat9w.exe //ES//[서비스명]

 

트레이 아이콘으로 열었던 화면과 동일하게 설정이 가능해졌다.

Java탭으로 가서 jvm옵션을 넣어주면 된다.

 

 

JVM 옵션 변경 - 2

위에서 설치했던 패키지가 아닌 어떤 패키지는 tomcat9w.exe 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것들도 있다.

이런 경우엔 명령어로 변경이 가능하다.

 

tomcat9 //US//[서비스명] ++JvmOptions="[설정값]"

또는 tomcat9.exe //US//[서비스명] ++JvmOptions="[설정값]"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http://tomcat.apache.org/tomcat-7.0-doc/windows-service-howto.html#Tomcat_service_application

https://www.lesstif.com/java/tomcat-windows-service-4849668.html

 

JVM 옵션 변경 - 3

레지스트리를 건드리는 편법도 있다.

레지스트리를 검색해서 Parameters를 찾아가면 Options에 jvm옵션이 명시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변경하고 톰캣을 재시작해 주면 된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서비스로 tomcat 등록하기 - 1  (0) 2020.08.23
Tomcat 여러개 설치하기  (1) 2018.10.12
Posted by gmHigh5

Windows 서비스로 tomcat 등록하기 - 1

WEB 2020. 8. 23. 21:21

tomcat은 무설치로 실행이 가능하지만 테스트용이 아니고서야 무설치로 사용하진 않는다.

아무래도 서버 장애가 발생하거나해서 재부팅을 하는 상황이 오면 자동실행되게 해놓는것이 좋기 때문이다.

그래서 windows 서비스로 등록 하는 방법을 작성해 보았다.

원래 목적은 jvm 옵션을 추가하는 방법을 기록하기 위해서이다.

 

 

Tomcat 설치


apache-tomcat 다운로드 페이지에 가면 zip과 installer 방식의 설치 패키지가 존재한다.

먼저 installer 방식으로 설치를 진행해 본다.

설치파일을 실행하고 next 넘기다 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나게 된다.

 

Windows Service Name에 'kskim-tomcat9' 이라고 지정하였다.

다음 java 경로, 설치 디렉토리 설정하게 되면 설치가 완료된다.

설치 경로의 bin 폴더로 가보자.

 

 

내가 지정한 서비스명으로 exe 파일이 설치되어 있다. 

원래 무설치버전을 보면 기본 명칭은 tomcat9.exe, tomcat9w.exe 이다.

서비스쪽으로 가 보면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는게 보인다.

 

 

작업표시줄의 트레이 아이콘을 보면 tomcat이 보인다.

여기서 tomcat 설정을 변경하거나 start/stop을 수행할 수 있다.

 

 

JVM 옵션 변경


이 포스트를 올리는 목적인 jvm옵션은 java 탭에 가서 변경할 수 있다.

-Xms1G -Xmx1G 를 추가하고 재시작 하였다.

 

 

jvm 옵션 입력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유닉스/리눅스에서 스크립트에 입력하던 방식으로 공백 하나 넣고 있력했다가 삽질을 좀 했다.

 

  • 정상
    -Xms1G
    -Xmx1G
  • 오류
    -Xms1G -Xmx1G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서비스로 tomcat 등록하기 - 2  (0) 2020.08.23
Tomcat 여러개 설치하기  (1) 2018.10.12
Posted by gmHigh5

Tomcat 여러개 설치하기

WEB 2018. 10. 12. 19:58

테스트를 위해서 tomcat 이미 설치한 서버가 있다.


이 tomcat은 계속 실행되고 있어야 하고, 다른 웹을 테스트해야 하는 상황이다.


다른 서버도 없고 VM을 또 설치하기도 귀찮다.


그래서 동일 서버에 tomcat을 하나 더 설치하기로 했다.


당연히 port가 사용중이라 바로 startup을 실행하면 충돌이 날 것이다.


port 부터 변경하자.


새로 설치한 tomcat에 conf 디렉토리로 이동 한다.


server.xml 을 열어서 port를 안겹치도록 변경한다.


변경할 곳은 3군데 이다.


1)


2)


3)


나는 port 번호를 1씩 증가시켜서 적용했다.


port가 사용중인지는 netstat 명령으로 확인해 보면 된다.


startup.sh 를 실행하면 켜지는거 같다.


shutdown.sh 을 해 본다.


그런데 이미 실행되어 있던 tomcat이 종료된다.


이유는 CATALINA_HOME 환경변수가 잡혀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새로 설치한 tomcat 에는 CATALINA_HOME을 다르게 설정해줘야 한다.


startup, shutdown 스크립트를 열어보면 모두 결과적으론 catalina.sh 를 호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catalina.sh 내 상단에 아래이 내용을 추가 한다.



이제 startup, shutdown 을 수행해도 기존의 tomcat 과는 별개로 동작이 가능해 졌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서비스로 tomcat 등록하기 - 2  (0) 2020.08.23
Windows 서비스로 tomcat 등록하기 - 1  (0) 2020.08.23
Posted by gmHigh5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블로그 이미지

웹개발자의 소소한 블로그

by gmHigh5

공지사항

    최근...

  • 포스트
  • 댓글
  • 트랙백
  • 더 보기

태그

  • tomcat #톰캣 #서비스등록
  • 화면캡처 #단축키

글 보관함

«   2025/09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링크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0)
JAVA (2)
WEB (3)
LINUX (2)
DBMS (2)

카운터

Total
Today
Yesterday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gmHigh5's Blog is powered by daumkakao
Skin info material T Mark3 by 뭐하라
favicon

Give me high five!!

웹개발자의 소소한 블로그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10)
    • JAVA (2)
    • WEB (3)
    • LINUX (2)
    • DBMS (2)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